본문 바로가기

기록/IT 동향

IT 동향 2020.07.30

1. 날로 거세지는 인도 내 반중 조치

 

인도, 중국산 앱에 ‘칼춤’…250개 추가 금지 검토

인도 정부가 중국과 국경 갈등 후 틱톡을 비롯한 중국산 스마트폰 앱의 자국 내 사용을 금지하고 나선 데 이어 250개 앱의 추가 금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

www.bloter.net

- 인도 정부가 중국과 국경 갈등 후 틱톡을 비롯한 중국산 스마트폰 앱의 자국 내 사용을 금지하고 나선 데 이어 250개 앱의 추가 금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표면적인 이유는 인도 국민의 개인정보보호 때문이지만 국경 분쟁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인도군과 중국군이 지난달 15일 히말라야산맥 국경에서 충돌해 인도군 20여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자 인도 내 반중(反中) 정서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 한편 미국은 틱톡과 같은 중국 앱이 사용자 정보를 빼돌려 중국 정부의 정보 수집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이유로 이용 금지를 검토하고 있다. 또한 호주는 틱톡과 위챗, 웨이보 같은 중국산 앱에 대한 국가 안보 위협 문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 한창 미국이 반중 분위기를 만들어 갈 때쯤, 인도와 중국의 국경 분쟁까지 터지면서 인도 내에서는 반중 분위기가 계속해서 달아오르고 있다. 여러모로 중국의 가장 거대한 시장 중 하나였던 인도의 반중은 사실상 중국에 직격타를 날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틱톡만 해도 사용 금지 조치 전 인도 내 사용자가 1억 명이 넘었다. 여러모로 중국의 입장이 난처해지고 있다.

 

2.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

 

자바, 8년 만에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 2위 내줬다

레드몽크가 공개한 상반기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에서 파이썬이 자바를 넘어 2위를 기록했다. 자바는 2012년 이후 8년 만에 2위권 밖으로 밀려났다.미국 지디넷은 SW개발기술...

zdnet.co.kr

- 레드몽크가 공개한 상반기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에서 파이썬이 자바를 넘어 2위를 기록했다. 자바는 2012년 이후 8년 만에 2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레드몽크가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가 1위, 파이썬이 2위에 올랐으며 3, 4위는 자바와 PHP가 차지했다. 이어서 C와 C#이 공동 5위, 루비와 CSS가 공동 7위를 기록했다. 타입스크립트는 9위, C가 10위에 올랐다

- 레드몽크가 공개하는 순위는 깃허브와 스택오버플로우의 게시물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때문에 현재 개발 언어 사용량을 객관적으로 보여준다고 보기 어렵지만 현재 주로 쓰이는 언어를 파악하거나 앞으로 유망한 개발언어를 예측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어떤 기준으로 뽑는지는 모르지만, 확실히 저 두 사이트의 흐름을 분석한 거라면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다고 봐야겠다. AI, 머신러닝 쪽 흐름이 강세를 띄면서 파이썬이 뜨고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는데 자바의 순위를 역전할 정도라고 하니 새삼 더 실감이 나는 것 같다.

 

3. 여기저기 활용할 수 있을 듯

 

빅데이터 조회 서비스 ‘카카오데이터트렌드’ 오픈...기간,기기,성별,연령,지역 기준으로 검색�

카카오가 빅데이터를 살펴보고 참고할 수 있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Kakao Data Trend)’를 시작했다. 카카오데이터트렌드는 포털 다음의 통합 검색어 정보를 기간, 기기, 성별,  연령, 지역 등 기�

platum.kr

- 카카오가 빅데이터를 살펴보고 참고할 수 있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Kakao Data Trend)’를 시작했다. 카카오데이터트렌드는 포털 다음의 통합 검색어 정보를 기간, 기기, 성별, 연령, 지역 등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최대 5개의 검색어를 동시에 입력해 각 검색어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는 차트 형태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조회한 내용을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 직접 데이터를 가공해 연구나 리서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로 팬덤이 어느 지역에 분포해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현재는 검색어 데이터만 제공하지만 카카오는 향후 콘텐츠와 비즈니스 등 분야의 데이터를 추가로 업데이트해 빅데이터 조회 플랫폼으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 빅데이터 자료를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이를 그래프로 이해하기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조별 과제든 프로젝트든 어떤 사안에 대해 간편하게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앞으로 어떤 식으로 서비스를 발전시킬지 지켜봐야겠다. 

 

'기록 > IT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동향 2020.08.03  (0) 2020.08.03
IT 동향 2020.07.31  (0) 2020.07.31
IT 동향 2020.07.29  (0) 2020.07.29
IT 동향 2020.07.28  (0) 2020.07.28
IT 동향 2020.07.27  (0) 202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