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IT 동향

IT 동향 2020.08.25

1. 애플, 한국 시장에 대한 태도 바뀔까

http://www.bloter.net/archives/401924

- 애플이 갑질 논란 끝에 자진시정안을 내놓았다. 애플은 국내 이동통신사에 광고비와 제품 무상 수리 비용을 떠넘겼다는 혐의로 2016년부터 공정위 조사를 받아왔다. 애플은 광고비용 분담 및 협의절차 개선을 비롯해 1000억원 규모의 소비자 및 중소 사업자 지원안을 제시했다. 1000억원 규모 지원안은 크게 네 가지로 구성됐다. ▲제조분야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제조업 R&D 지원센터 설립(400억원) ▲디벨로퍼 아카데미 설립 후 연간 200명의 인재 양성(250억원) ▲혁신학교, 교육 사각지대 및 공공시설 등에 디지털 교육 지원(100억원) ▲아이폰 사용자 대상 유상 수리 비용 10% 할인(250억원) 등이다.

애플의 갑질 논란은 한국 시장 진출 이후 반복돼 왔다. 특히 이용자를 홀대 한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늦은 제품 출시와 해외 대비 비싼 가격 책정과 부족한 서비스 지원 등이 지적됐다. 특히 제품 수리 문제와 민원 처리에 대한 불만이 컸다. 국내 서비스 초기에는 아이폰 부분 수리를 제공하지 않고 제품 전체를 리퍼폰으로 교체하는 정책을 강행해 이용자 수리 비용 부담을 높였다. 애플 앱스토어의 국내 서비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전기통신사업자 이용자보호업무 평가등급에서 애플에 최저 평가에 해당하는 ‘미흡’ 등급을 내렸다. 애플은 이용자 보호업무 관리체계, 피해예방 활동실적, 이용자 의견 및 불만 처리실적 등 전반적인 이용자 보호업무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 애플 제품에 대한 사용률이 꽤 늘어난 지금도, 여전히 애플 공식 스토어는 국내에 단 하나 밖에 없다. 국내에서 아이폰을 편리하게 A/S 받는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고, 받더라도 대부분 정도에 상관 없이 리퍼로 퉁친다. 뭐.. 그래도 다들 산다. 애플이니까. 서비스가 소홀해도 애플은 그것을 넘어서는 무엇인가를 분명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논란이 계속 되니 자체 조치에 들어가며 한국 시장 달래기에 나선 애플, 지금까지와 다른 모습을 보여줄지 지켜봐야겠다.

 

2. 구독 경제 in 게임 시장

 

구독형 게임 각광…연내 6조9천억 규모 성장

구독형 게임 서비스가 게임 시장에서 비중을 키워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게임산업 데이터 분석 기업 뉴주는 구독형게임 시장 규모가 올해 연말까지 58억 달러 규모(약 6조9...

zdnet.co.kr

- 구독형 게임 서비스가 게임 시장에서 비중을 키워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게임산업 데이터 분석 기업 뉴주는 구독형게임 시장 규모가 올해 연말까지 58억 달러 규모(약 6조9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주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콘솔 시장 내에서 구독형 게임 서비스는 콘솔 시장의 13%, 전체 게임시장의 4%를 차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뉴주는 시장이 요구하는 그래픽 품질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게임 개발이 어려워지고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게임사가 이용자의 게임 이용 주기를 길게 만들고 장기간 수익을 낼 수 있는 요소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 구독형 게임 서비스 시장의 확대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 국내에서는 구독형 게임 서비스를 시도하는 게임사가 아직 없지만 이동통신사인 KT가 자체 구독형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 게임박스를 출시해 눈길을 끈다. 게임박스 이용자는 월 9천900원의 요금을 내고 보더랜드3, NBA2K20, 마피아3 등 대작을 포함해 100여 종 이상의 게임을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는 9월과 10월에는 각각 PC용 게임박스와 KT IPTV 기가지니용 게임박스가 출시될 예정이다.

- 새로운 경험을 중요시하는 밀레니엄 세대가 소비의 주축으로 등장하면서, 각 분야에서 구독 경제가 활성화 되고 있다. 게임 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아직까지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매시 할인을 제공하는 정도지만 언젠가는 넷플릭스처럼 매달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보유한 모든 게임 타이틀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언젠가 취미로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마음을 품고 있는 사람으로서, 게임 시장의 구독 경제가 더욱 활성화 됐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

 

3. 하필 이런 시기에 요금 인상을

 

인기협 "구글 결제정책 변경은 국내 인터넷산업 전반에 악영향" - 'Startup's Story Platform’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24일 방송통신위원회에 구글 미국 본사와 구글코리아 유한회사(이하 구글)에 대한 전기통신사업법 위반행위 신고서를 제출했다. 인기협에 앞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19�

platum.kr

-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24일 방송통신위원회에 구글 미국 본사와 구글코리아 유한회사(이하 구글)에 대한 전기통신사업법 위반행위 신고서를 제출했다. 최근 구글은 게임 앱에만 적용해왔던 IAP 모듈과 수수료율을 모든 콘텐츠 서비스 앱에 적용하는 방침을 예고했다. 애플의 경우 2011년부터 앱 내 구매 기능이 있는 모든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인앱 결제(In-App Payment 이하 ‘IAP’) 모듈만을 강제해왔다.

- 인기협은 “구글의 결제정책이 변경·시행되면, 구글 인앱결제 외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하는 앱 사업자는 강제로 시장에서 퇴출당하게 되고, 소비자에게 부과되는 모바일 콘텐츠 이용요금이 증가되는 등 이용자 이익이 저해될 뿐 아니라, 종국적으로는 국내 앱 생태계 자체가 구글에게 종속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말하며, 이는 “K-콘텐츠의 성장은 물론 최근 편리하고 다양한 혁신적인 결제서비스가 등장해 많은 이용자들의 선택을 받으며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핀테크 분야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창 에픽과 애플이 수수료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지금, 앱 마켓의 또 다른 기둥인 구글도 수수료 인상을 들고 나섰다. 엄격한 통과 기준과 운영방침을 고수하는 애플과 달리, 구글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운영을 해왔는데 시장 지배력이 늘어나니 정책을 바꾼 것이다. 막상 시장 지배력이 늘어나니 좀 더 챙기고 싶었나보다. 앱 시장이 성숙기에 들어가는 가운데, 업계의 두 공룡과 관련해 일제히 논란이 터지면서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고 되고 있다.

 

'기록 > IT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동향 2020.08.27  (0) 2020.08.27
IT 동향 2020.08.26  (0) 2020.08.26
IT 동향 2020.08.24  (0) 2020.08.24
IT 동향 2020.08.23  (0) 2020.08.23
IT 동향 2020.08.22  (0) 2020.08.22